Ti의 LM2776은 2가지 모드를 가지고 있어서 40mA보다 적게 소모할 때에는 낮은 주파수로 스위칭 하면서 적은 전력을 소모한다. 하지만 리때 리플전압이 급격하게 증가한다. 온도에 따라서도 급격하게 변화할 수 있고 사용전류량의 변화에 따라서도 급격하게 변화할 수 있다. 주의해야한다.
이렇게 리플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 캐피시터를 크게 단다고 해도 해결되는 한계가 있다.
해결을 위해서 뒤에 레귤레이팅을 더 해주는 옵션을 생각해볼 수 있지만 .레귤레이터 입력과 출력전압의 차이가 적을수록 노이즈 성분은 거의 그대로 통과할 가능성이 높다. 따라서 설계에 주의해야함.
LM27761은 LDO를 내장해서 리플을 줄인 베품이다. 대신 가격이 좀 더 비싸다. 그래도 외부LDO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수준의 리플전압을 구현했다.
LM27762는 음전압 외 양전압도 LDO를 거쳐서 제공한다. 양전압이 필요하다면 사용을 고려해 볼 수도.
---
LM7705
-0.232V 를 발생시키는 칩. 외 이런 애매한 전압이 필요한가?
GND라고 해도 회로가 GND까지 안내려가는 경우가 발생한다. op-amp가 0을 출력하지 못한다거나.
이런경우 GND보다 0.1V 정도만 낮아도 GND로 센싱하고 출력하는데 충분해진다.
'TIL > 전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ysteresis가 뭐야 (0) | 2018.06.07 |
---|---|
제너다이오드 (0) | 2018.05.15 |
kicad 에서 케이스 제작용 도면 넘겨줘야 할 때 (0) | 2018.03.31 |
FET 선정하기 (0) | 2018.03.07 |
LCD 제어 (0) | 2018.02.06 |